본문 바로가기
일상

퀀트로 가치투자하라 책리뷰~ (사실상 이 한권으로 투자가능)

by 빅브라더_1984 2020. 5. 4.

퀀트로 가치투자

퀀트로 가치투자하라
국내도서
저자 : 웨슬리 그레이(Wesley R. Gray, PhD),토비아스 칼라일 / 서태준역
출판 : 에프엔미디어 2019.08.25
상세보기

-위 링크로 책을 구매하시면 저에겐 약간의 수수료가 들어옵니다(꾸벅) -

 

안녕하세요! 퀀트로 가치투자를 본후 투자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 빅브라더 1984입니다.

사실 주식을 시작하려고 마음 먹으면서 유명한 애널리스트나 트레이더들 등 주식으로 유명한 사람들의

글이나 영상 컨텐츠들을 접하면서 주식에 대한 정보를 조금씩 쌓아가고 있었습니다.

하지만 구체적인 전략들을 스스로 세우려고 보니 막상 시작부터 막막하고 어떻게

투자를 해야 손실위험을 취소화하면서 수익은 극대화할 수 있을지

투자전략에 대한 진척이 없었습니다.

그러다 우연히 '퀀트'라는 단어와 '가치투자'라는 단어가 함게 들어간 이 책을 발견하게되었고

저만의 투자전략에 대한 진척도가 상당히 올라갔습니다.

 

저는 오랜시간 세무사시험 준비를 하다보니 회계에 대해서 이미 각 계정별로 어떠한 성격을 갖는지

상당히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는 상태였지만 막상 그 지식들을 주식투자를 할 땐 어떻게 적용해야할지

모르는 상황이었습니다. 재무제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는 아는데 주식투자할 땐 재무제표를

어떻게 봐야하지?? 라는 의문이 많았고 그 부분에 있어서 어느정도 답을 찾은게 사경인회계사님이

쓰신 '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하지마라' 였습니다.

상세보기

 

아무튼 이 책을 통해서 어느 정도 재무제표 활용에 대한 감이 잡혀있었는데

[퀀트로 가치투자하라] 라는 읽다보니 가치투자의 대가들의 여러 전략들과

그 전략들을 업그레이드한 후 백테스팅 결과들까지 함께 보여주다보니

각각의 전략에 대한 이해 및 믿음을 얻을 수 있었고

각각의 지표들을 어떻게 써먹어야할지 알 수 있었습니다.

 

저같은 경우에는 예전에 빅데이터교육을 수료한적이 있다보니

프로그래밍 언어 중에서 파이썬을 어느 정도 능숙하게 다루게 되었습니다.

그러다보니 책에 나온 전략들을 실제의 한국 주가데이터(FinanceDataReader나 재무제표 데이터(오픈dart 등)들을 

웹상에서 가져오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[퀀트로가치투자하라]에 나온

여러가지 전략들을 실제로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.

 

사실 구현하는 단계에서 나온 여러가지 회계용어들에 대한 이해도가 없었거나

코딩실력이 부족했거나 어느하나 부족했다면 

전략을 실제로 구현하지는 못했으리라 생각합니다.

하지만, 저의 경우 그 두 조건이 만족한 상태였고

그에 따른 결과물도 나오게되다 보니 [퀀트로가치투자하라]라는 책이 

저에게는 '수학(주식)의 정석'과 같은 느낌입니다.(요즘도 수학의정석 보나요??ㅋㅋㅋㅋ)

 

아무튼 이 책은 그 난이도나 깊이가 상당히 높다고 판단되기 때문에

어느 정도 재무제표를 잘 보시거나 평소 가치투자에 대한 지식이 어느정도

쌓인 분들에게는 최고의 책이라고 말씀드리고 싶고 

이제 막 주식을 시작하시거나 재무제표를 볼줄 전혀 모르시는 분들에게는

결코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!!

 

아무튼, 이 책은 이런 저런 내용들, 전략들 나오면서 그 모든 전략들을 활용하여

QV 라는 최고의 짬뽕전략을 제시하면서 끝이납니다.

 

아래는 제가 QV전략을 구현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략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


QV 체크리스트 최종판

1단계 : 자본의 영구적 손실을 초래할 주식을 피해라
(1) 잠재적 사기와 조작 식별
   1) 발생액 심사
   STA = 총자산 대비 총발생액 = ( CA(t)- CL(t) - DEP(t) ) / 총자산(t)
     CA = 유동자산 증감 - 현금 및 현금등가물 증감
     CL = 유동부채 증감 - 유동부채에 속한 장기 부채의 증감 - 이연법인세 증감
    DEP= 감가상각비
     P_STA = 투자 유니버스 전체 STA에서 차지하는 비율
     SNOA = 총자산 대비 순운전자본 = (영업자산(t) - 영업부채(t) / 총자산(t)
     P_SNOA = 투자 유니버스 전체 SNOA 에서 차지하는 비율
     ComboAccrual = 결합발생액 =  P_STA + P_SNOA

    2) 사기와 조작 심사
     DSRI = t기의 외상매출금 회수 기간을 t-1기의 외상매출금 회수 기간으로 나눈 비율
     GMI = t-1기의 매출총이익을 t기의 매출총이익으로 나눈 비율
     AQI = 자산의 질을 가늠하는 지표이며, 토지 및 건물, 기계장치(비유동자산 중 유형자산에 해당)를 제외한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비유동자산을 총자산으로 나눈 비율
     SGI = t기의 매출을 t-1 기의 매출로 나눈 비율
     DEPI = t-1 기의 감가상각률을 t기의 감가상각률로 나눈 비율
     SGAI = t기의 판매 및 일반관리비를 t-1기의 판매 및 일반관리비로 나눈 비율
     LVGI = t기의 총부채를 총자산으로 나눈 비율을 t-1기의 동일한 비율로 나눠서 구함
     TATA = 현금을 제외한 순운전자본의 증가분에서 감각상각비를 제해 구함

   조작확률 PROBM (Probability of Manipulation)을 계산함
      PROBM = -4.84 +0.92 * DSRI + 0.528 * GMI + 0.404*AQI + 0.892*SGI + 0.115*DEPI - 0.172*SGAI + 4.679*TATA - 0.327*LVGI

PMAN = CDF(PROBM)
여기서 CDF는 평균이 0이고 표준편차가 1인 정규분포를 따르는 변수의 누적 분포함수

 (2) 자금난에 처할 가능성이 높은 주식 식별
     NIMTAAvg= 분기순이익/MTA 의 가중평균
     MTA=총자산의 시가총액 = 부채의 장부가치 + 주식 시가총액
     TLMTA = 부채총액/MTA
     CashMTA = 현금 및 현금등가물/MTA
     ExRetAvg = [log(1+주식 투자수익률) - log(1+S&P500 총수익률)]의 가중평균
     Sigma = 선행3개월간 주가의 표준편차를 연간으로 환산한 값
     Rsize = log(시가총액 / S&P500 전체 시가총액
     MB =MTA/수정장부가치
     수정장부가치 = 장부가치 + 0.1*(시가총액 - 장부가치)
     Price = log(최근주가). 상한선을 15달러로 해서, 주가가 20달러인 주식이라면 log(20)대신 log(15)부여

LFPD = -20.26* NIMTAAvg + 1.42*TLMTA - 7.13*ExRetAvg  + 1.41*Sigma  -0.045*Rsize - 2.13*CashMTA  +
              0.075*MB  - 0.058*Price - 9.16
PFD= 시그모이드함수(LFPD)

(3) 자본의 영구적 손실을 초래할 주식 제거
아래의 심사를 동시에 진행한다
    -표본의 결합 발생액(ComboAccrual 상위 5%에 속하는 모든 기업 제거)
    - 표본의 조작가능성(PMAN 상위 5%에 속한느 모든 기업 제거)
    - 표본의 자금난 확률(PFD 상위 5%에 속하는 모든 기업 제거)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2단계 : 가장 싼 주식을 찾아라
각 주식의 EBIT/EV를 계산한 후 순위를 매겨 PRICE로 사용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3단계 : 가장 퀄리티 높은 주식을 찾아라
  (1) 경제적 해자
ROA(8)= 8년 기하평균 총자산이익률
  *ROA = 당기순이익 / 총자산
  *P_ROA(8) = 투자유니버스 전체 ROA(8)에서 차지하는 비율

ROIC(8) = 8년 기하평균 투하자본이익률
  *ROIC = EBIT/IC
  *P_ROIC(8) = 투자 유니버스 전체 ROIC(8)에서 차지하는 비율

장기FCFA = 총자산 대비 장기 잉여현금흐름
  *8년 잉여현금흐름의 총합/총자산
  *P_FCFA = 투자 유니버스 전체 장기 FCFA 에서 차지하는 비율

MG = Margin Growth = 매출총이익률 성장률
  *매출총이익률 성장률의 8년 기하평균
  *P_MG = 투자 유니버스 전체 MG 에서 차지하는 비율

MS =Margin Stability = 매출총이익률 안정성
  * 매출총이익률의 8년평균(%) /  매출총이익률의 8년 표준편차(%)
  *P_MS = 투자 유니버스 전체 MS 에서 차지하는 비율

MM = Margin Max = 최대마진
  *Max[P_MG, P_MS] = P_MG와 P_MS중 최대값

경제적 해자 점수(P_FP)
  *투자 유니버스 전체의 AVG[P_ROA(8), P_ROIC(8), P_FCFA, MM]에서 차지하는 비율
  * AVG[P_ROA(8), P_ROIC(8), P_FCFA, MM]은 4개 변수의 평균

(2) 재무건전성
 1) 현재수익성
ROA = 총자산이익률
 *특별항복 이전 당기순이익/총자산
 *ROA>0 이면 FS_ROA = 1, 반대면 0

FCFA= 잉여현금흐름/총자산
 *FCFA>0 이면 FS_FCFA = 1, 반대면 0

Accrual = FCFA-ROA
 *Accrual>0 이면 FS_Accrual = 1, 반대면 0

  2 )안정성
Lever = [장기부채(t-1) / 총자산(t-1)] - [장기부채(t)/총자산(t)]
 *Lever >0 이면 FS_Lever = 1, 반대면 0

Liquid = 유동비율(t) - 유동비율(t-1)
 *Liquid > 0 이면 FS_LIQUID = 1, 반대면 0

NEqlss = 자사주 매입 량 - 증자 수량
 *NEqlss >0 이면 FS_NEqlss = 1, 반대면 0

  3) 최근 영업 호전성
ROA증감
 *ROA증감>0 이면 FS_ROA증감 = 1, 반대면 0
FCFA증감
 *FCFA증감 > 0 이면 FS_FCFA증감 = 1, 반대면 0
Margin증감
 *Margin>0 이면 FS_Margin = 1, 반대면 0
Turn증감(총자산회전율증감)
 *Turn > 0 이면 FS_Turn증감 = 1, 반대면 0

  4)재무건전성 점수(P_FS)
 * P_FS = SUM[FS_ROA, FS_FCFA, FS_Accural, FS_Lever, FS_Liquid, FS_NEqlss, FS_ROA증감, FS_FCFA, FS_Margin증감, FS_Turn증감] / 10

 (3) 퀄리티 찾기
퀄리티 값은 경제적 해자 점수와 재무건전성 점수의 단순한 평균이다. 이렇게 구한 퀄리티 점수에 따라 모든 기업에 순위를 매긴다
Quality = (P_FP + P_FS) / 2


뭔가 굉장히 복잡하죠?ㅋㅋㅋㅋㅋㅋㅋ

이 내용은 일단 거의 요약본이라고 생각하시고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

직접 책을 통해서 습득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.

짧은 글로 그 내용을 설명하긴 쉽지 않고 그림도 같이 보면서 이해하신다면

이 책을 다 읽기 전과 후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리라 장담합니다!!!!!!!!!!!!!!!!!

인생이 변할겁니다!!!ㅋㅋㅋㅋㅋㅋ....

아무튼, 이 책을 읽으신 후에 이 전략을 어떻게 적용하지? 어떻게 하나하나 다 계산하지?

라고 생각하신다면 제가 직접 오랜기간 조금씩 만들어 온 자료를 이용하시면 됩니다.

아래 링크를 통해서 가능합니다(찡긋) ---->(첨부된 파일 보시면 됩니다)

[일상] - 주식초보도 하루 10분 투자로 종목선정이 가능한 퀀트방식의 가치투자!!(s-rim, 신마법공식, FS-SCORE, 캠벨모형 등등 무료제공)

댓글